고려대학교 대학원 식물생명공학과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도서관
  • English

식물유전공학 전공

식물유전공학 전공 교과목 목록


전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내용 학점
PBR501 식물생명공학세미나 I(Seminar in Plant Biotechnology I) 식물생명공학 분야의 최신의 연구 및 산업에 대한 특강 3
PBR502 식물생명공학세미나 II(Seminar in Plant Biotechnology II) 식물생명공학 분야의 최신의 연구 및 산업에 대한 특강 3
PBR503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올바른 실험설계법과 실험결과의 통계적 분석방법에 대한 강의. 통계의 기본적 개념, t-test, 분산분석, 회귀분석 및 실험설계 방법 등이 다루어지며, 통계분석에 사용되는 각종 소프트웨어 활용방법을 습득케 한다. 3
PBR504 과학적 글쓰기와 소통 (Scientific writing and communication) 과학적 글쓰기와 소통은 연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논문 작성, 피어 리뷰, 학술 발표문 작성 등 학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글쓰기 기술을 익힌다. 학생들은 글쓰기 실습을 통해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과학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과학적 소통을 위해 결과를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기술을 학습하는데 중점을 둔다. 3
PBG501 식물유전공학세미나 I (Plant Genetic Engineering Seminar I) 식물유전공학 분야의 최신 동향을 세미나와 토론을 통하여 연구 3
PBG502 식물유전공학세미나 II (Plant Genetic Engineering Seminar II) 식물유전공학 분야의 최신 동향을 세미나와 토론을 통하여 연구 3
PBG503 연구방법론(Methodology in Crop Science Research) 論文作成法, 도표 작성법, 참고문헌 조사, 가설의 설정, 실험적 증명, 論理와 展開 3
PBG504 작물유전학특론(Advanced Crop Genetics) 遺傳情報物質, 유전의 세포학적 근거, 게놈의 進化, 유전자설, 세포질유전, 突然變異 分化와 유전자 작용, 유전자작용의 제어, 유전자의 量的 作用, 집단과 도태 3
PBG505  작물생리학특론(Advanced Crop Physiology) 作物體의 構成成分, 光合成作用, 呼吸作用, 제2차 植物成分과 그 代謝, Nitrogen assimilation, 發芽生理, 成長生理, 開花生理, 結實生理, 作物과 異常氣候의 關係 등. 3
PBG506 작물재배학특론(Advanced Crop Cultivation) 作物재배의 영역, 발달 및 현황, 栽培環境과 作物의 生育 및 收量의 관계, 作物栽培技術의 발달, 栽培技術과 作物生態와의 관계, 作目의 種類, 品種成分 등. 3
PBG507 작물육종학특론(Advanced Crop Breeding) Selected topics in breeding activities of rice, barley, wheat, corn, oats, and soybeans. 3
PBG511 작물분자유전학특론(Advanced Crop Molecular Genetics) DNA의 構造, 遺傳子의 槪念, 遺傳子의 發現 및 調節 메커니즘, DNA複製, 遺傳子 cloning 등 기본적인 槪念을 총괄적으로 강의. 3
PBG513 식물분자생물학특론 I (Advanced Plant Molecular Biology I) 고등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련된 기초적이고 다양한 기전을 습득하여 식물생명공학의 기술적 근간을 이해함. 3
PBG515 식물분자육종학특론I(Advanced Plant Molecular Breeding I) 고전육종이론을 기본으로 식물개발의 분자적 이론 및 기술을 강의. 목적형질에 대한 분자적 mechanism의 이해와 유전자적 접근을 통한 식물개발기법 연구. 3
PBG521 연구기술론Ⅰ(Research ToolⅠ) 비 학위논문 연구내용으로 식물 재배, 유전, 육종, 생리, 병, 환경에 대한 논제로 내용 정리 및 발표. 3
PBG522 기기분석특론(Advanced Instrumental Analysis) 다양한 분석 기기의 기본원리와 응용, 자료의 해석, 시료의 처리법 등을 강의한다. 3
PBG551 수도작특론(Advanced Rice Production) 水稻의 發育史․現況․形態․生理․品種․生態條件과 水稻生育․開花結實․登熟과의 관계, 育苗와 移秧技術, 관리방법과 收穫, 調製 및 機械化 省力栽培 등. 3
PBG552  전작특론(Advanced Up-Land Crop Production) 麥類․雜穀․豆類․薯類 등의 각 作物의 來歷․栽培狀況․形態․分類․利用法․ 加工貯藏․生態條件․環境과 生育․收量 및 品質과의 관계, 栽培技術 및 省力化栽培, 品種 및 特殊栽培法 등. 3
PBG553 종자생리학(Seed Physiology) 種子生産의 目的과 方法, 品種特性의 평가, 특이성, 均一性, 안정성, 생산력, 종자 생산관리, 포장검사, 종자검사, 종자처리 및 포장, 保證, 사전 및 사후관리, 품종등록, 종자생산의 규제, 생산성, 종자의 질, 품종의 보호 및 배분, 종자산업의 육성 및 보호. 3
PBG554 공예작물학특론(Advanced Industrial Crop Production) 纖維․油料․藥用 및 기타 工業原料가 되는 作物의 유래․形態․栽培現況․栽培 環境과 生育, 有用成分合成 및 生産物의 品質關係․採取加工․利用 및 栽培方法 등. 3
PBG555  선발기술론(Technology in Selection) 選拔의 意義, 選拔效果, 母集團의 크기, 선발강도, 유전자형 선발법, Tandem․ Truncation․Index selection, 수량의 안정성에 대한 선발법, 유전적 및 生理的 相關 현상. 3
PBG556 세포유전학(Cytogenetics) 염색체의 構造, 細胞分裂, 염색체의 구조변경, 이수성, 배수성, 핵형의 진화. 3
PBG557 환경농업론(Agricultural Ecology) 농약의 대기․토양 및 수계에서의 이행상황, 오염원에 따른 피해상황, 작목선택에 의한 적정 생산 유지 및 환경 정화, 생태계 변화에 따른 적응농업연구. 3
PBG558 교잡육종론(Advanced Combination Breeding) 交雜育種의 遺傳學적 기초, 동형접합체의 증가, 집단선발, 개체선발 및 후대검정, 再組合의 세포학적 근거, 초월분리, 교잡기술, 開花誘導, 개화시기의 조절, 화분저장, 교잡후대의 관리, 계통육종법, 집단육종법, SSD, 여교잡, 복교잡법, 수렴육종법 Multiliness, Composite cross, 영양번식, 作物의 교잡육종. 3
PBG559 세대촉진론(Shortening Techniques of Generation Advances) 세대촉진법의 발달, 휴면타파, 春花處理 및 기타의 개화촉진법, 世代促進온의 운영, 고도 및 위도 윤환법, 집단의 관리, 집단의 크기, 기회적 변동, SSD. 3
PBG561 조직배양론(Tissue Culture) 조직배양의 이론과 응용에 관해서 문헌을 중심으로 강의. 3
PBG565 식물유전공학(Plant Genetic Engineering) 주곡작물의 생산성향상을 위하여 주곡작물 및 모텔식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의 유전공학 기법의 활용이론 연구 3
PBG566 육종기술론 (Crop Breeding Technology) 교배 및 집단육종을 중심으로 선발, 고정, 육성에 이르는 육종 기술 적용이론 3
PBG601 식물기능개발학 (Plant Functional Enhancement) 주곡작물 (밀, 보리, 벼, 옥수수, 등)을 중심으로 수량성 및 목적형질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이론 3
PBG602 유전자료분석 (Genetic Data Analysis) ]유전모수 추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대한 이론을 강의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실제의 자료를 분석해 본다. Maximum likelihood 추정법, 유전적 다양도 및 집단구조, 유전분화, 유집분석, 계통도 추정, 연관분석 및 유전자 지도, 공간 자기상관 등의 주제가 다루어진다. 3
PBG604 식물분자육종학특론 II(Advanced Plant Molecular Breeding II) 최근의 식물 분자육종적 응용기술의 이해 및 실용화연구로서 주요작물을 대상으로 한다. 3
PBG605 성분육종론 (Breeding for Quality Improvement) 농산물의 영양학적 균형, 유해성분, 각성분의 기초유전 개선목표 및 육종법을 강의. 3
PBG611 식량작물학특론 I (Advanced Crop Science I) 수도, 맥류, 잡곡, 두류 등의 각 작물의 발육사, 현황, 생리, 생태조건과 개화 결실 등식의 관계, 이용법, 가공 및 저장 3
PBG612 식량작물학특론 II (Advanced Crop Science II) 밭작물의 파종부터 수확에 이르기 까지의 전과정에 걸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응용기술 3
PBG622 식물분자생물학특론 II (Advanced Plant Molecular Biology II) 고등식물의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련된 기초적 기전 습득을 바탕으로 식물생명공학의 최신 연구동향을 연구하고 이해함. 3
PBG623 식물분자생리학특론 I (Advanced Plant molecular physiology I) 식물의 생장 및 발달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 기전의 분자 수준에서의 이해 도모 3
PBG624 식물분자생리학특론 II (Advanced Plant molecular physiology II) 식물의 생장 및 발달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 기전의 분자 수준에서의 이해 도모 3
PBG629 식물환경신호전달학특론 (Advanced Plant Environmental Signal Transduction) 고등식물의 생존에 필요한 환경 적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특성과 그 조절 기전을 돌연변이 등을 이용한 최신 연구논문을 연구하고 이해함. 3
PBG631 천연물화학특론(Advanced Natural Products Chemistry) 인간에 유용한 천연물자원으로부터 얻은 이차대사산물에 대하여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하여 다양한 천연물 유래 화학 성분을 보편적으로 취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강의한다. 3
PBG633 생리활성천연물연구(Bioactive Natural Products Research) 천연 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분리, 동정 및 응용에 관한 연구방법을 강의한다. 즉, 천연물의 활성 성분의 분리법, 구조확인, 생리활성, 개발 방법등을 강의한다. 3
PBG643 돌연변이 육종론 (Breeding Crops for Heterosis) 잡종강세의 유전적 배경 및 측정, 일반 및 특수조합능력검정, 자식계 및 영양계의 작성 및 개량, HYB 의 생산, 웅성불임, 자가 불화합성, 아포믹시스, Induced mutagenesis를 통한 유전분석, 유용유전자 발굴 및 이용 3
PBG644 형질전환 기술론 (Transformation Technology) 형질전환 식물체 개발을 위한 형질전환 효율성증진 및 transgene stability, in vivo selection등을 소개. 3
PBG645 식물유전체기능분석학 (Plant Functional Genomics) 지놈연구에 바탕을 둔 프로테오믹스의 적용으로 식물세포의 생리적 변화에 따른 분자유 전적인 현상과 세부적인 기전 발굴에 대한 이해 및 식물 개발에 적용을 강의한다. 3
PBG646 천연물대사체학(Natural Products Metabolomics) 대사체학 기법을 응용하여 천연물 대사체의 분석법 개발, 응용 및 최신의 연구동향을 강의한다. 3
PBG804 저항성육종론(Breeding for Resistance) 병충해의 種類와 그 抵抗性, 병해저항성, 蟲害抵抗性, 선충류저항성, 기타 동식물 해의 저항성, 저항성 육종의 조건들, 저항성의 안정성, 저항성 유전자의 관리. 3
PBG811 식물유전공학실용화연구 (Plant Genetic Engineering) 식물유전공학의 최신 Topic 및 이들의 실용화에 관한 논문 강독, 토론 및 강의 3
PBG812 연구기술론 II (Research Tool II) 비학위논문 연구내용으로 식물재배, 유전, 육종, 생리, 병, 환경에 대한 논제로 내용 정리 및 발표 3
PBG813 천연물구조결정법 (Structure Elucidation of Natural Products) 천연물의 구조 결정을 위해 사용되는 분광학적 및 화학적 방법을 강의하고 실제로 응용할 수 있도록 천연물로부터 얻은 많은 화합물들의 data를 제시하여 이들의 해석법과 응용력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