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단계 BK 식물생명공학연구팀 팀장 인사말
(BK21FOUR R&E Team for Plant Biotechnology)
고려대학교 대학원 4단계BK21 사업 <대사체 기반 고부가가치 스마트팜 작물 생산체계 연구팀> 홈페이지를 찾아주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본 교육연구팀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과의 교수, 대학원생 그리고 신진연구인력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한 지속가능한 개발(SDG)을 목표로 빠르고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세계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작물생명공학 가치를 선도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비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 비전의 달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식물생명공학과의 위상을 현재 관련 분야 현재 세계 100위권에서 세계 30위권 내 진입을 목표로, 1) 우수한 대학원생 선발, 2) 현장을 이해하며 식물공학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육과 함께 3) 실험실 간 유기적인 연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후세대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첨단 식물생명공학 과학기술과 관련 산업을 선도해나갈 창의적 인재 양성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참여교수진은 ‘대사체 기반 고부가가치 스마트팜 작물 생산체계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식물유전, 육종, 재배, 작물보호, 천연물 대사체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산업 및 연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작물 생명공학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첨단 작물 생산 시스템인 스마트팜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작물 개발, 생산, 이용에 이르기 까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효율적으로 식물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국내외 식물생산산업 현장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해결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기관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에 대학원생을 적극 참여시켜, 현장경험과 다양한 첨단연구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우리 교육연구팀은 지속가능한 미래에서 식량, 의약, 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원인 식물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점을 해결해가며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는 식물생명공학 전문가들을 육성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본 교육연구팀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물생명공학과의 교수, 대학원생 그리고 신진연구인력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기후변화 및 도시화로 인한 지속가능한 개발(SDG)을 목표로 빠르고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세계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작물생명공학 가치를 선도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비전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 비전의 달성을 위하여 고려대학교 식물생명공학과의 위상을 현재 관련 분야 현재 세계 100위권에서 세계 30위권 내 진입을 목표로, 1) 우수한 대학원생 선발, 2) 현장을 이해하며 식물공학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육과 함께 3) 실험실 간 유기적인 연구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후세대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첨단 식물생명공학 과학기술과 관련 산업을 선도해나갈 창의적 인재 양성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참여교수진은 ‘대사체 기반 고부가가치 스마트팜 작물 생산체계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식물유전, 육종, 재배, 작물보호, 천연물 대사체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산업 및 연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작물 생명공학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첨단 작물 생산 시스템인 스마트팜에 적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작물 개발, 생산, 이용에 이르기 까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효율적으로 식물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국내외 식물생산산업 현장의 문제를 다각적으로 해결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국가기관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에 대학원생을 적극 참여시켜, 현장경험과 다양한 첨단연구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우리 교육연구팀은 지속가능한 미래에서 식량, 의약, 환경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원인 식물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문제점을 해결해가며 미래를 이끌어갈 수 있는 식물생명공학 전문가들을 육성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대사체 기반 고부가가치 스마트팜 작물 생산체계 교육연구팀장 김 종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