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대학원 식물생명공학과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도서관
  • English

식물병리학 및 생리학 전공

식물병리학 및 생리학 전공 교과목 목록


전공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교과내용 학점
PBR501 식물생명공학세미나 I(Seminar in Plant Biotechnology I) 식물생명공학 분야의 최신의 연구 및 산업에 대한 특강 3
PBR502 식물생명공학세미나 II(Seminar in Plant Biotechnology II) 식물생명공학 분야의 최신의 연구 및 산업에 대한 특강 3
PBR503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 (Experimental Design and Statistical Analysis) 올바른 실험설계법과 실험결과의 통계적 분석방법에 대한 강의. 통계의 기본적 개념, t-test, 분산분석, 회귀분석 및 실험설계 방법 등이 다루어지며, 통계분석에 사용되는 각종 소프트웨어 활용방법을 습득케 한다. 3
PBR504 과학적 글쓰기와 소통 (Scientific writing and communication) 과학적 글쓰기와 소통은 연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논문 작성, 피어 리뷰, 학술 발표문 작성 등 학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글쓰기 기술을 익힌다. 학생들은 글쓰기 실습을 통해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과학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과학적 소통을 위해 결과를 명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기술을 학습하는데 중점을 둔다. 3
PBP502 식물병리학특론 (Advanced Plant Pathology) 植物病發生, 寄生植物과 病原菌의 相互作用, 수량손실, 防除法 등. 3
PBP503  토양병생태 및 방제 (Ecology and Management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土壤病原菌의 生態, 토양병원균에 의한 植物被害, 주요 土壤病의 최신 硏究현황, 토양병의 防除法. 3
PBP504 식물-병원균 상호작용 (Host-Pathogen Interactions) 植物-病原菌 相互作用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生理, 生化學的, 分子生物學的 측면의 최신 硏究 동향. 3
PBP505 식물병분자생리학 (Molecular and Physiological Plant Pathology) 分子遺傳 및 分子生物學的 관점에서 植物病原菌의 병원성, 寄主植物의 저항성, 식물병원균-기주식물 相互作用을 파악. 3
PBP506 생물적식물병방제학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植物病 防除學 理論 중 生物的 防除法에 대한 최신 硏究 동향. 3
PBP507 화학적식물병방제학 (Chem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植物病 防除學 理論 중 化學的 防除法에 대한 최신 硏究 동향. 3
PBP512  화훼원예특론 (Advanced Floriculture) 화훼류에 대한 최근의 국내․외 연구경향과 생산, 이용에 대한 현안을 살펴보고 전망에 대해 강의한다. 3
PBP513  채소원예특론 (Advanced Olericulture) 채소류 특수재배의 현황, 재배방법의 문제점, 대책 등에 대해 강의한다. 3
PBP514 수확후관리론 (Postharvest Management) 다양한 작물의 수확에서 소비까지의 과정, 즉. 수확, 예냉, 선별, 포장, 저장, 출하, 유통, 가공의 모든 과정에서의 취급 및 관리의 이해 3
PBP551 살균제특론 (Advanced Fungicides) 殺菌劑의 作用機作, 使用方法, 중요 殺菌劑의 종류. 3
PBP553 식물진균병학특론(Advanced Topics in Fungal Plant Diseases) 眞菌의 生活史, 眞菌病發生機作, 眞菌病의 農業에서의 重要性, 중요 眞菌病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3
PBP554 식물세균병학특론(Advanced Plant Bacteriology) 細菌病의 발생경로, 細菌病의 農業에서의 重要性, 중요 細菌病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 3
PBP555 식물바이러스병학특론(Advanced Plant Virology) 바이러스病 防除法, 바이러스의 一般特性, 바이러스의 구성요소인 단백질과 核酸의 構造와 機能, 바이러스의 증식과 병 발생에서 일어나는 生化學的 현상, 바이러스의 기주, 매개체에 대한 特性. 3
PBP556 식물병진단학(Diagnosis of Plant Diseases) 植物病診斷方法, 중요 식물병반 채집 및 표본제작 病原菌 분리 동정. 3
PBP558 식물병역학(Plant Disease Epidemiology) 植物病, 만연과정, 病 만연과 環境, 收量損失 사정, 病防除에 있어서 疫學의 重要性, 疫學의 최신 硏究 동향, 疫學의 硏究 方法. 3
PBP559 식물병저항성 (Plant Disease Resistance) 植物病 抵抗性의 遺傳, 疫學, 生理的, 分子生物學的인 면의 최신 硏究 동향. 3
PBP566 식물선충학특론 (Advanced Plant Nematology) 植物을 가해하는 線蟲의 形態, 生理, 生態 및 作物의 被害相, 피해의 豫防 및 防除. 3
PBP568 생리활성천연항균물질(Bioactive-Antifungal Natural Compounds) 植物, 動物, 微生物 등에서 분리, 순화된 天然物의 抗菌活性에 대한 최신 硏究 동향. 3
PBP571 원예병학특론 (Advanced Topics in Horticultural Crop Diseases) 園藝作物에 發生하는 중요한 植物病의 발생, 생태 및 방제에 대한 최신 硏究 동향. 3
PBP583 식물병리학세미나 (Seminar in Plant Pathology) 최신 식물병리학 연구 방법과 주요 주제를 발표하고 토론하며, 이를 통해 최근 식물병리학 연구의 동향을 이해한다. 3
PBP602 식물생리 ․ 생태론 (Plant Physiological Ecology) 식물의 재배 및 이용에 관여하는 내적․외적 환경에 대한 생리반응 연구 동향 3
PBP608 허브생산학 (Production of Herb) 허브 식물의 특성, 종류, 재배관리, 가공 및 최신 연구 동향 3
PBP616 작물품질평가특론 (Advanced Crop Quality Assessment) "작물품질평가특론"은 작물 품질의 주요 평가 지표와 분석 기법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학생들은 작물의 외관적, 화학적, 생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품질 평가 방법론을 학습하며, 비파괴적 평가 기술, 센서 기반 분석,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품질 예측 방법론 등을 다룹니다. 이 과목은 작물 품질 평가의 최신 기술을 이해하고 실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PBP618 식물대사체학생리특론 (Advanced Physiology of Plant Metabolomics) 이 강의는 식물 대사체학과 생리학의 통합적 관점에서 최신 이론과 연구 방법론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해 이를 연구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화학, 다변량 통계, 식물 물질대사, 대사체 패쓰웨이 분석 및 지표물질 설정을 다루며, 최신 연구 논문 리뷰를 통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연구 기획 능력을 향상시킨다. 3
PBP802 도시원예학 (Urban Horticulture) 도시환경에서의 원예식물의 특성, 인간생활과의 관계 및 최신 연구 동향 3
PBP811 식물환경조절공학특론 (Advanced Controlled Environment for Plant Production) 효율적인 작물 재배를 위해 필요한 환경 조건과 이에 따른 식물의 생리학적 반응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식물환경조절 시설(온실, 수직농장 등)의 종류, 특성, 및 관리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환경 측정을 위한 다양한 센서와 컴퓨터를 이용한 환경 조절 기술을 익혀 최신 식물환경조절 연구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3
PBP813 식물분자면역생리학특론 (Advanced Molecular Plant Immuno-Physiology) 分子遺傳 및 分子生物學的 관점에서 植物病原菌의 병원성, 寄主植物의 저항성, 식물병원균-기주식물 相互作用을 파악. 3